맨위로가기

롱괴유 도시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롱괴유 도시권은 퀘벡주에 위치한 도시권으로, 롱괴유 시를 포함하여 부셰르빌, 브로사르, 생랑베르, 생브루노드몽타르빌 등 5개의 도시로 구성된다. 2002년과 2004년에 걸쳐 퀘벡 주 지방 자치 단체 개편 과정을 겪었으며, 2006년에는 일부 도시가 롱괴유에서 분리되거나 통합되었다. 롱괴유 도시권은 몬트리올과 인접하여 도로, 철도, 대중교통이 발달했으며, 2016년 기준 인구는 415,347명이다. 롱괴유 시는 르 비유-롱괴유, 그린필드 파크, 생위베르 등 3개의 지역구로 나뉘어 있으며, 도시권 의회는 롱괴유 시에 위치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퀘벡주의 지리 - 허드슨 해협
    허드슨 해협은 캐나다 북부에 위치한 수역으로 배핀 섬, 사우스햄튼 섬 등의 섬과 본토로 둘러싸여 있으며, 국제수로기구(IHO)에 의해 경계가 정의된다.
  • 퀘벡주의 지리 - 제임스만
    제임스만은 캐나다 북동부 허드슨만의 남쪽 끝에 위치한 만으로, 1631년 토마스 제임스를 기념하여 명명되었으며, 허드슨 베이 회사의 모피 교역 중심지이자 현재는 수력 발전 댐 건설, 카누 여행, 철새 보호 구역으로 활용되고 있다.
롱괴유 도시권 - [지명]에 관한 문서
위치 정보
일반 정보
공식 명칭롱괴유 도시권
영어 명칭Urban agglomeration of Longueuil
행정 구역퀘벡 주
지역몽테레지
구성 도시롱괴유
부셰르빌 시
브로사르 시
생랑베르 시
생브루노드몽타르빌 시
행정
단체장카롤린 생틸레어 (2013-2017)
정부 형태지방 자치 단체
의회지역 선출 공무원 회의
의장모니크 바스티앙
역사
설립일2002년 1월 1일
통합일2004년 9월 2일
지리
면적282.21 제곱킬로미터
인구
총 인구 (2021년)436785명
인구 밀도 (2021년)1546.7 명/제곱킬로미터
2016-2021년 인구 변화증가 5.2%
주택 수187260채
인구 (2011년)402953명
인구 밀도 (2011년)1427 명/제곱킬로미터
기타 정보
시간대동부 표준시
UTC 오프셋-5
하계 시간동부 일광 절약 시간
UTC 오프셋 (하계)-4
지역 번호450, 438
웹사이트롱괴유 도시권 홈페이지

2. 역사

롱괴유 시는 21세기 초 퀘벡의 지방 자치 단체 개편 과정에서 큰 변화를 겪었다. 2002년 1월 1일, 롱괴유는 부셰르빌, 브로사르, 그린필드파크, 르모인, 생브뤼노드몽타르빌, 생위베르, 생랑베르 등 주변의 여러 자치 단체와 통합하여 하나의 거대 도시를 형성하였다. 이 통합으로 기존 도시들은 롱괴유 시의 새로운 자치구가 되었다.

그러나 통합 결정은 모든 지역에서 지속되지는 않았다. 2004년 6월, 통합되었던 일부 자치구(부셰르빌, 브로사르, 생브뤼노드몽타르빌, 생랑베르)에서 분리 여부를 묻는 주민 투표가 실시되었고, 그 결과 2006년 1월 1일부로 이들 지역은 다시 독립적인 시로 재구성되었다. 이러한 분리 및 재편 과정을 거치면서 일부 자치구의 소속 변경과 시청 이전 등이 이루어졌다.

2. 1. 2002년 지방 자치 단체 개편

2002년 1월 1일, 퀘벡의 지방 자치 단체 개편의 일환으로 롱괴유는 부셰르빌, 브로사르, 그린필드파크, 르모인, 생브뤼노드몽타르빌, 생위베르, 생랑베르와 통합되었다. 이들 8개 도시는 하나의 거대 도시, 이른바 '롱괴유 메가시티'를 형성하게 되었으며, 기존 도시들은 롱괴유 시의 자치구로 재편되었다. 구체적으로 생랑베르와 르모인은 '생랑베르/르모인'이라는 하나의 자치구가 되었고, 이전의 롱괴유 시는 르 비유-롱괴유 자치구로 이름이 바뀌었다. 통합 직후에는 이전 브로사르 시청 건물이 새로운 롱괴유 시청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통합은 오래가지 못했다. 2004년 6월 20일, 이전의 부셰르빌, 브로사르, 생브뤼노드몽타르빌, 생랑베르 자치구 주민들은 롱괴유로부터 다시 분리하여 독립적인 지방 자치 단체로 돌아가기 위한 투표를 진행했고, 그 결과 2006년 1월 1일에 이들 4개 지역은 다시 별도의 시로 재구성되었다. 나머지 자치구들은 롱괴유 시에 그대로 남았다.

생랑베르가 분리됨에 따라 '생랑베르/르모인' 자치구는 해체되었다. 르모인은 인구나 면적이 작아 독립적인 자치구가 되기 어려웠다. 이에 따라 2005년, 르모인 주민들에게는 르 비유-롱괴유, 생위베르, 그린필드파크 중 어느 자치구에 속할지를 선택할 기회가 주어졌고, 투표 결과 르 비유-롱괴유가 선택되어 2006년 1월 1일부로 르모인은 르 비유-롱괴유 자치구에 통합되었다.

이러한 분리 과정을 거친 후, 롱괴유 시청은 브로사르에서 생위베르 자치구로 이전하여 현재까지 그곳에 위치하고 있다.

2. 2. 2004-2006년 분리 투표 및 재편

2004년 6월 20일, 이전의 부셰르빌, 브로사르, 생브뤼노드몽타르빌, 생랑베르 자치구는 롱괴유로부터 분리하여 2006년 1월 1일에 다시 독립된 자치 단체로 재구성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투표를 실시했다. 투표 결과, 해당 자치구들은 분리를 선택했으며, 나머지 지역은 롱괴유 시로 유지되었다.

생랑베르가 롱괴유에서 분리됨에 따라 기존의 생랑베르/르모인 자치구는 해체되었다. 르모인은 인구와 면적이 작아 자체적인 자치구를 유지하기 어려웠다. 2005년, 르모인 주민들은 르 비유-롱괴유, 생위베르, 그린필드파크 중에서 소속될 자치구를 선택하는 투표를 진행했고, 르 비유-롱괴유를 선택했다. 이에 따라 2006년 1월 1일, 르모인은 르 비유-롱괴유 자치구에 통합되었다.

한편, 일부 자치구의 분리 이후, 롱괴유 시청은 기존 브로사르 시청 건물에서 생위베르로 이전하여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

3. 행정

롱괴유 도시권은 롱괴유 시를 포함하여 부셰르빌, 브로사르, 생랑베르, 생브루노드몽타르빌 등 총 다섯 개의 독립된 시로 구성된 광역 행정 구역이다. 롱괴유 시는 또한 그린필드 파크, 르 비유-롱괴유, 생-위베르 등 세 개의 지역구(arrondissement)로 나뉘어 있다.

롱괴유 시에 위치한 롱괴유 도시권 의회는 도시권 전체의 행정을 총괄하는 기구이다. 도시권 의회는 해당 지역의 공시지가 발표, 상수도 공급, 소방 및 구급 서비스, 경찰력 운영, 치안 유지, 시 법원 관리, 공공 주택 공급, 대중교통 시스템 운영, 생활 쓰레기 수거 등 광역적인 행정 업무를 책임진다.[7]

이러한 행정 체계는 퀘벡 주의 「특정 도시권 내의 특정 지방 자치 단체의 권한 행사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운영된다. 이 법률에 따라 롱괴유 도시권과 이를 구성하는 각 시들은 권한과 책임을 분담하며, 도시권 의회는 부여된 광역 행정 권한을 행사한다.

3. 1. 롱괴유 도시권의 구성

롱괴유 도시권은 롱괴유 시를 포함하여 부셰르빌, 브로사르, 생랑베르, 생브루노드몽타르빌 등 다섯 개의 시로 이루어져 있다. 롱괴유 시는 또한 그린필드 파크, 르 비유-롱괴유, 생-위베르 등 세 개의 지역구(arrondissement)로 나뉘어 있다. 롱괴유 시의 인구는 약 23만 명으로, 퀘벡 주에서는 몬트리올, 퀘벡, 라발, 가티노 다음으로 다섯 번째로 가장 큰 도시이다.

롱괴유 도시권 의회는 롱괴유 시에 위치해 있으며, 도시권 의회는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공시지가 발표, 상수도 관리, 소방서 및 구급 활동, 경찰 업무, 치안 및 방범, 시 법원 운영, 공공 주택 관리, 대중교통, 생활 쓰레기 수거 등을 담당한다.[7]

「특정 도시권 내의 특정 지방 자치 단체의 권한 행사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롱괴유 도시권의 도시 및 자치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 롱괴유
  • * 르 비유-롱괴유 구
  • * 그린필드 파크 구
  • * 생-위베르 구
  • 부셰르빌 시 Ville de Boucherville프랑스어
  • 브로사르 시 Ville de Brossard프랑스어
  • 생브루노드몽타르빌 시 Ville de Saint-Bruno-de-Montarville프랑스어
  • 생랑베르 시 Ville de Saint-Lambert프랑스어

3. 2. 롱괴유 도시권 의회

롱괴유 도시권 의회는 롱괴유 시에 위치해 있으며 도시권 의회에서는 해당 지자체의 공시지가 발표, 상수도, 소방서 및 구급 활동, 경찰, 치안·방범, 시 법원, 공공 주택, 대중교통, 생활쓰레기 수거 등을 맡게 된다.[7]

『특정 도시권 내의 특정 지방 자치 단체의 권한 행사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롱괴유 도시권의 도시 및 자치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 롱괴유
  • *르 비유-롱괴유 구
  • *그린필드 파크 구
  • *생-위베르 구
  • 부셰르빌
  • 브로사르
  • 생브뤼노드몽타르빌
  • 생랑베르


롱괴유 도시권의 도시 및 자치구 (2016년 인구 조사)[5]
도시/자치구인구비율(%)대표 수시의회 투표 수
부셰르빌41,67110.0%11.76
브로사르85,72120.7%13.21
롱괴유239,70057.7%610.63
비외롱괴유138,55033.3%
생트위베르84,42020.2%
그린필드 파크16,7354.0%
생브뤼노드몽타르빌26,3946.3%11.13
생랑베르21,8615.3%11
합계415,347100.0%1017.73



이 새로운 시정 조직 체제 하에서, 롱괴유 도시권과 재구성된 도시들 (이 경우 부셰르빌, 브로사르, 생브뤼노드몽타르빌 및 생랑베르)은 권한과 책임을 공유한다. 도시권은 이러한 도시권 권한을 행사하는 도시권 협의회에 의해 운영된다.

4. 인구

롱괴유 도시권의 인구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왔다. 캐나다 통계청의 인구 조사 자료에 따르면, 2001년부터 2016년까지의 인구 변화는 다음과 같다.

롱괴유 도시권 역사적 인구 변화[8][9][10][2]
연도인구
2001371,934
2006385,533
2011399,097
2016415,347



2011년 인구 조사 당시 총 인구는 399,097명이었으며,[11] 2016년 조사에서는 415,347명으로 증가했다.[2] 도시권 내 인구 분포, 연령 구조, 사용 언어 등 자세한 인구 통계는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4. 1. 인구 구성

2011년 기준 롱괴유 도시권의 인구는 399,097명이었다.[11] 이 중 롱괴유 시에 58.0%(231,409명), 브로사르에 19.9%(79,273명), 부셰르빌에 10.2%(40,753명), 생브뤼노드몽타르빌에 6.5%(26,107명), 생랑베르에 5.4%(21,555명)가 거주했다.[11] 2016년 인구 조사에서는 총 인구가 415,347명으로 증가했으며, 도시 및 자치구별 인구 분포는 다음과 같다.[5][8][9][10][2]

롱괴유 도시권의 도시 및 자치구 (2016년 인구 조사)[5]
도시/자치구인구비율(%)대표 수시의회 투표 수
부셰르빌41,67110.0%11.76
브로사르85,72120.7%13.21
롱괴유239,70057.7%610.63
비외롱괴유138,55033.3%
생트위베르84,42020.2%
그린필드 파크16,7354.0%
생브뤼노드몽타르빌26,3946.3%11.13
생랑베르21,8615.3%11
합계415,347100.0%1017.73



2011년 조사 결과, 전체 인구 중 만 15세 미만은 15.3%, 만 65세 이상은 16.5%를 차지했다. 평균 연령은 42.8세로, 퀘벡주 평균인 41.9세보다 약간 높았다.[11]

==== 언어 ====

2011년 조사에 따르면, 도시권 인구의 74.3%가 프랑스어를 모국어로 사용했고,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비율은 7.5%, 프랑스어와 영어를 모두 모국어로 사용하는 비율은 1.1%였다. 프랑스어와 영어 외 다른 언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인구는 15.6%였으며, 이 중에서는 스페인어, 아랍어, 중국어, 페르시아어, 기타 크리올 언어 순으로 사용자가 많았다.[11] 캐나다의 공식 언어 구사 능력에 대해서는 전체 인구의 54.3%가 프랑스어와 영어를 모두 구사할 수 있었고, 40.0%는 프랑스어만, 4.3%는 영어만 구사 가능했으며, 1.3%는 두 언어 모두 구사하지 못한다고 응답했다.[11]

2016년 캐나다 인구 조사에 따른 모국어 분포는 다음과 같다.

모국어 분포 (2016년 캐나다 인구 조사)
언어인구백분율(%)
프랑스어만295,71071.96%
영어만29,3507.14%
영어와 프랑스어 모두4,6951.14%
기타 언어73,52017.89%


4. 2. 언어

201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롱괴유 도시권 인구의 74.3%가 프랑스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며,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비율은 7.5%였다. 프랑스어와 영어가 모두 모국어인 사람은 1.1%에 해당했다.[11] 프랑스어와 영어 외의 언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인구는 전체의 15.6%였으며, 이 중에서는 스페인어, 아랍어, 중국어, 페르시아어, 기타 크리올 순으로 모국어 화자가 많았다.[11] 캐나다의 공용어 구사 능력에 대해서는 전체 인구의 54.3%가 프랑스어와 영어를 모두 구사할 수 있다고 응답했으며, 40.0%는 프랑스어만, 4.3%는 영어만 구사 가능하다고 답했다. 프랑스어와 영어를 모두 구사하지 못하는 비율은 1.3%였다.[11]

2016년 캐나다 인구 조사 기준 모국어 사용 현황은 다음과 같다.

언어인구백분율(%)
프랑스어만295,71071.96%
영어만29,3507.14%
영어와 프랑스어 모두4,6951.14%
기타 언어73,52017.89%


5. 교통

롱괴유 도시권은 퀘벡에서 가장 큰 도시인 몬트리올과 인접하여 도로, 철도, 대중교통 및 항공 교통이 잘 발달되어 있다. 다수의 주요 고속도로가 도시권을 통과하며, 광역교통기구(AMT)와 롱괴유 교통망(RTL)이 각각 통근열차와 시내버스 등 대중교통 운행의 중요한 역할을 한다. VIA 철도암트랙을 통해 캐나다 국내 주요 도시 및 미국으로 향하는 철도 교통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생튀베르 공항을 통해 국내선 항공편을 이용하거나 인근의 몬트리올 피에르 엘리오트 트뤼도 국제공항을 통해 국제선 및 다양한 항공 노선 이용이 가능하다.

5. 1. 도로 교통

롱괴유 도시권은 퀘벡에서 가장 큰 도시인 몬트리올과 인접하여 도로 교통이 비교적 잘 구비되어 있다. 주요 고속도로는 다음과 같다.

  • 10번 고속도로: 몬트리올, 브로사르, 에스트리 지역의 셰르브루크를 연결한다.
  • 15번 고속도로: 미국 국경과 맞닿은 생베르나르드라콜에서 몬트리올을 거쳐 섬 북쪽의 로랑티드 지역까지 이어진다.
  • 20번 고속도로: 퀘벡주를 동서로 잇는 주요 고속도로이다.
  • 25번 고속도로: 롱괴유에서 몬트리올 동부를 거쳐 라노디에르 지역까지 연결된다.
  • 30번 고속도로: 세인트 로렌스 강 남쪽을 따라 몽테레지 지역 대부분 구간을 통과한다.


이 외에도 롱괴유 도시권을 통과하는 주요 간선 도로로는 112번 도로, 116번 도로, 132번 도로, 134번 도로가 있다.

5. 2. 대중교통

광역 몬트리올 지역의 대중교통을 담당하는 광역교통기구(Agence métropolitaine de transport|아장스 메트로폴리텐 드 트랑스포르fra, AMT)는 몬트리올 중앙역에서 출발하여 생랑베르, 생튀베르, 생브루노 역을 거쳐 라발레뒤리슐리외 지방자치구의 몽생틸레어까지 이어지는 통근열차를 운행한다.

롱괴유 교통망(Réseau de transport de Longueuil|레조 드 트랑스포르 드 롱괴유fra, RTL)은 롱괴유 도시권을 중심으로 시내버스를 운행한다. 이 외에 롱괴유와 몬트리올, 샹블리, 바렌, 소렐트라시 등을 연결하는 광역버스 노선은 AMT에서 운영하고 있다.

5. 3. 철도 교통

VIA 철도의 생랑베르 역에서는 몬트리올퀘벡을 잇는 코리더 열차를 매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몬트리올에서 핼리팩스를 오가는 열차는 주 3회 운행된다. 미국 뉴욕주올버니뉴욕으로 향하는 암트랙의 애디론댁 선 열차도 매일 이용 가능하다.

5. 4. 항공 교통

생튀베르 공항에서는 파스콘 항공이 퀘벡주 내의 알마, 베코모, 마들렌 제도, 퀘벡 등 주요 도시와 뉴펀들랜드 래브라도주의 해피밸리구스베이, 와부시, 그리고 뉴브런즈윅주의 배서스트를 연결하는 항공편을 운항하고 있다. 또한, 롱괴유 도시권은 몬트리올 피에르 엘리오트 트뤼도 국제공항과도 인접해 있어 국제선 및 다른 국내선 이용이 용이하다.

참조

[1] 웹사이트 Ministère des Affaires Municipales et Régions: Urban agglomeration of Longueuil http://www.mamrot.go[...]
[2] 웹사이트 Census Profile, 2016 Census - Longueuil, Territoire équivalent [Census division], Quebec and Longueuil, Ville [Census subdivision], Quebec https://www12.statca[...] 2.statcan.gc.ca 2019-02-09
[3] 웹사이트 Census Profile, 2021 Census - Longueuil, Territoire équivalent https://www12.statca[...] 2.statcan.gc.ca 2023-10-04
[4] 웹사이트 Longueuil veut quitter... la Montérégie http://www.cyberpres[...] La Presse 2012-02-03
[5] 웹사이트 Portrait social du Vieux-Longueuil 2019 https://developpemen[...] 2022-11-04
[6] 웹사이트 Official Transport Quebec Road Map http://www.quebec511[...] Quebec511.gouv.qc.ca 2013-08-01
[7] 웹인용 Agglomération de Longueuil https://www.longueui[...] 롱괴유 시청 2015-09-06
[8] 웹인용 2006 Community Profile: Longueuil (Territoire équivalent) http://www12.statcan[...] Statistics Canada 2012-02-09
[9] 웹인용 2011 Statistics Canada Community Profile: Urban agglomeration of Longueuil, Quebec https://www12.statca[...] 2.statcan.gc.ca 2013-08-01
[10] 웹인용 Census Profile, 2016 Census - Longueuil, Territoire équivalent [Census division], Quebec and Longueuil, Ville [Census subdivision], Quebec https://www12.statca[...] 2.statcan.gc.ca 2019-02-09
[11] 웹인용 Profil du recensement https://www12.statca[...] 캐나다 통계청 2015-09-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